에어부산 항공기 화재사고: 보조배터리 무서워서 어떡해..
본문 바로가기
정치사회

에어부산 항공기 화재사고: 보조배터리 무서워서 어떡해..

by 조목조목219 2025. 1. 30.
반응형

스마트 폰이 생활 필수품이 되어버린 현대사회에서 보조배터리 역시 필수 휴대품이 되었습니다. 처음 가는 여행지나 해외여행을 갈때는 모든 정보와 지도가 스마트폰에 있기에 더더욱 그러하죠. 그런데 이 보조배터리가 이제 공포의 대상이 되었습니다. 

 

아래 동영상과 안전 수칙을 보시고, 동영상에서 잘못된 승무원의 대응 방법을 댓글로 남겨주세요. 

 

2018년 2월 25일 중국남방항공 기내 보조배터리 화재 사고 당시 촬영 영상 출처: ChinaAviationReview 공식 X 계정

지난 2025년 1월 28일 김해국제공항발 홍콩 첵랍콕 국제공항행 에어부산 391편(HL7763) 항공기가 이륙하기 전 화재가 발생하여 다시 한 번 항공기 사고에 대한 공포를 불러 일으켰습니다. 다행히 모든 승객들이 무사히 대피하였습니다. 화재의 원인은 조사중에 있지만, 승객들의 증언과 사진등에 따르면 기내수화물에 포함된 보조배터리가 발화의 원인이 아닌가 하는 의혹이 있습니다. 

지난 29일 부산 강서구 김해국제공항에서 박형준 부산시장을 비롯해 소방당국, 공항 유관기관 관계자들이 에어부산 여객기 화재 현장을 보고 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그럼 이제 보조배터리는 기내 반입을 금지 시켜야 하는거 아닌가요? 물론 그럴지도 모릅니다. 라이터 전면 반입금지에 탄식했던 흡연자들의 마음을 모든 사람들이 느끼게 될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안전하게만 관리하면 보조배터리 화재를 막을 수도 있고, 혹여나 화재위험이 발생하더라도 조기에 대처할 수 있습니다.

 

그럼 보조배터리 기내반입 시 안전수칙에 대해 알아볼까요? 

 

🔹 비행기 탑승 전 배터리 점검

  1. 배터리 상태 확인:
    • 배터리에 부풀어 오름, 찌그러짐, 변색, 액체 누출 등의 손상이 있는 경우 사용하지 않고 폐기해야 합니다.
    • 공식 인증된 제품(KC인증, UL인증 등)만 사용하여 품질이 보장된 배터리를 챙깁니다.
  2. 배터리 용량 확인:
    • 100Wh 이하: 기내 반입 가능 (개수 제한 없음).
    • 100Wh~160Wh: 항공사 허가 필요, 개인당 2개까지 반입 가능.
    • 160Wh 초과: 기내 반입 불가.
  3. 충전 완료 후 완전히 식힌 상태에서 보관:
    • 사용 직후 과열된 상태에서 보조배터리를 가방에 넣지 말고 충분히 식힌 후 보관합니다.

🔹 탑승 중 배터리 취급 주의사항

  1. 배터리를 위탁 수하물(부치는 짐)에 넣지 않기:
    • 리튬이온 배터리는 기내 휴대 수하물로만 반입 가능.
    • 위탁 수하물에 넣으면 수하물칸에서 화재 발생 시 대처가 어려움.
  2. 배터리 단락(쇼트) 방지:
    • 배터리 단자(금속 접촉 부분)를 보호하기 위해 절연 테이프를 붙이거나 전용 파우치에 보관.
    • 동전, 열쇠, 보조배터리 등 금속 물체와 함께 두지 않기 (충격 시 화재 위험).
  3. 기내에서 충전 중 과열 여부 확인:
    • 좌석에 앉아 있는 동안 스마트폰이나 보조배터리의 온도를 수시로 체크. 그러기 위해서는 보조 배터리를 항상 휴대하고 있어야 겠죠? 
    • 고온이 감지되면 즉시 충전 중단 후 승무원에게 알리기.
    • 기내에서 비정품 충전기 사용 금지.

🔹 배터리 화재 발생 시 대처법

  1. 연기 또는 이상한 냄새가 날 경우 즉시 신고:
    • 전자기기에서 연기, 탄 냄새, 부풀어 오름이 감지되면 즉시 전원을 끄고, 승무원에게 알리기.
    • 혼자 해결하려 하지 말고 승무원의 지시에 따르기.
  2. 기내에서 배터리가 떨어지면 발로 차지 말기:
    • 바닥 틈새로 들어가면 회로가 손상되어 화재 위험 증가.
    • 기기가 떨어졌다면 승무원에게 도움 요청 후 안전하게 수거.
  3. 배터리에서 불이 날 경우:
    • 물이나 얼음으로 끄지 말 것! (리튬 배터리는 물과 반응해 더 큰 화재로 번질 수 있음).
    • 승무원이 제공하는 소화포(불연성 담요)로 덮거나 기내 비상 소화기로 진압.
    • 연기가 발생하면 코와 입을 막고 최대한 낮은 자세로 이동.

🚨 추가 안전 수칙

기내에서 노트북, 태블릿, 보조배터리를 사용할 경우 발열 상태를 자주 확인.
✔ 좌석에 앉을 때 배터리를 좌석 틈새에 끼우지 않도록 주의.
✔ 정품 충전기와 케이블을 사용하여 전압이 과부하되지 않도록 관리.


✈ 비행기에서 배터리 화재를 예방하는 핵심 요약

손상된 배터리 반입 금지
위탁 수하물에 넣지 말고 기내 반입
배터리 단자 보호(절연 테이프, 개별 포장)
기내 충전 시 발열 상태 확인
연기·과열 감지 시 즉시 승무원에게 알리기

 

💡 이 수칙을 지키면 배터리 화재로 인한 위험을 크게 줄이고 여행은 즐거움은 더 크게 누릴 수 있습니다!

반응형